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빨간 우체국

미국 사실주의 화가 '윌리암 글라켄스' 본문

art

미국 사실주의 화가 '윌리암 글라켄스'

노을진 2021. 2. 28. 09:40

 

출처;wikipedia

생애 

1870년 필라델피아에서 출생한 미국의 대표적인 화가이다. 명망 있는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 후 잠깐 기자로 있다가 출판사에서 삽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Pennsylvania Academy of the Fine Arts에서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재능 있는 화가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 새로운 미국 예술을 창조할 필요성을 느끼고 회화로 전향하기로 마음먹는다. 1904년 부유한 집 딸 Edith Dimock와 결혼하여서 다른 가난한 보헤미안 예술가 친구들과 달리 행복한 가정생활과 풍족한 삶을 누렸다. National Academy of Design의 정 회원이기도 한 그는 유럽의 미술작품들을 미국에 소개하는 일에도 적극적이었다. 또한 잘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들이  전시회를 열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William James Glackens-Central Park .1905 /The Metropolitan Museum

 

Ashcan (애쉬 켄)-The Eight

 

주함에 따라 작가들의 주제가 농촌에서 도시로 옮겨졌다. 인상주의와 아카데미 사실주의에 반대하여 생긴 애쉬 캔 학파의 일원이기도 해서 초창기 그의 그림은 어두운 색조와 노동 계급과  중산층 20세기 초 많은 인구가 도시에 거의 대도시 일상 모습들을 사실적으로 즐겨 그렸다. 애쉬 켄 학파의 대표화가로 Robrt Henri를 중심으로 , Shinn, Sloan, Luks, George Bellows 등이 있다. 8명이어서 'The Eight'라고도 불림. '애쉬 켄' 굳이 번역을 하자면 쓰레기통 학파라는 뜻인데, 미국의 뒷골목, 술집 , 가난하고 소외받는 사람들을 그린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세계 1차 대전 이전의 예술은 자본주의와 제국주의가 인간성을 타락시키자 현실과 멀어진 순수 추상예술이 주였다. 세계대전이 끝나자 현재를 냉정하게 바라보기 시작한다. 이들은 당시 유럽 인상파 화법에 영향을 받은 미국 인상파에 비판적 시각을 갖는다. 이들 대다수가 필라델피아 지역의 삽화가로 활동한 이력이 있고 다소 보수주의적 색채를 띄고 있다. 사회성을 갖는 그림을 그렸지만 이데올로기와는 일정 거리를 유지했다. 이들 중에서 글라켄스의 작품은 가장 부드러운 편에 속한다.

 

작품

글라켄스의 작품 스타일은 평생 다양하게 변해왔다. 위 'Central Park'는 초창기 작품으로 어둡고 거친 붓의 표현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시기에  공원, 해변, 생활모습 등을 주로 그렸으며 나중에는 초상화로 알려졌고 말년에는 정물을 주로 그렸다. 그는 오일의 유연성을 좋아했고 강한 색상의 효과에 중점을 두었다.

1910년경부터 그가 속해있던 The Eight과 결별하면서 그의 화풍은 변해간다. 'Nude with Apple' 은 그 시작이라 할 수 있겠다.ㅣ서과를 든 시크한 여자 모델의 표정과 목에 두른 리본은 Manet의 올림피아를 연상시킨다. 미국의 르느와르라고 불릴 만큼 르느와르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생의 마지막 20년 동안은 유럽 특히 파리와 프랑스 남부에서 보냈다. 유럽 미술에 대한 폭넓은 지식으로 유럽 미술을 미국에 소개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Nude with Apple (1909~1910); Brooklyn Museum

 

Comments